이명박대통령이 3월 10일 대전시청을 방문해 '이례적인 선물 보따리'를 풀어놨습니다.
이날 업무보고에서 이 대통령은 대전에 녹색기술 산업클러스터 건설,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 첨단영상제작단지 등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들 사업만 2조 7천억원 이상의 국비가 투입될 전망입니다.
이들 사업은 박성효 대전시장이 그동안 청와대와 정부부처 등에 꾸준히 제기해왔던 지역 현안들입니다.
박 시장은 대동·금탄지구, 신동지구, 둔곡지구 등 6.8㎢(2백만 평) 부지에 녹색기술 산업클러스터를 건설해 대덕특구의 녹색기술 연구 성과를 사업화하겠다며 기반시설 조성을 위해 국비 5천억 원 지원과 국세·지방세 감면 연장(10년) 등을 요청했습니다. 국세와 지방세 감면 연장은 정부가 발표했던 세종시 수준에 해당하는 혜택입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업무보고에 배석한 정부부처 장·차관들에게 적극 검토할 것을 강력하게 지시했습니다. 저도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이 대통령은 "추진하라"는 말보다 "검토하라"는 표현을 잘 쓴다고 합니다. 실제 이 대통령은 “공무원들이 검토한다고 하면 부정적인 경우가 많지만 내가 말하는 그런 검토는 다르다”며 지원 의지를 재차 확인해 주기도 했습니다.
녹색기술 산업클러스터는 ▲대동·금탄지구(3.1㎢) ▲신동지구(1.7㎢) ▲둔곡지구(2.0㎢) 등 총 6.8㎢(200만 평) 규모의 부지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녹색기술 개발성과를 사업화로 연계시키기 위해 추진될 계획입니다.
대전시는 ▲대동지구를 ‘무탄소 시범도시(zero carbon village)’ ▲신동지구를 그린나노파크로 ▲둔곡지구를 녹생성장 핵심연구기관 집적단지로 각각 조성할 계획입니다.이 사업으로 연간 2조 2258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한다는 게 대전발전연구원의 분석입니다.
대전을 중심으로 충청권을 광역철도망으로 연결하는 방안도 국책사업으로 본격 추진됩니다. 이 대통령은 박 시장의 건의를 받고 국가광역철도망구축계획에 이를 반영하겠다고 했습니다.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은 국비 1조 4,900억원을 들여 경부선 일부 구간을 2복선화하고, 호남선의 여유 선로용량을 활용해 수도권처럼 충청권 주요 시·군을 도시철도로 연계하는 사업입니다.
이 대통령이 충북 업무보고에서 천안까지 연결된 수도권 전철을 청주국제공항까지 연결한다고 하니,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으로 수도권 전철이 대전까지 연결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대전시는 또 현재 운행 중인 도시철도 1호선은 물론 향후 건설될 2·3호선과 충청권 광역철도망을 연결할 복안입니다.
오는 2016년까지 1단계로 계룡~조차장역 구간(25.4㎞)의 호남선 여유 선로와 중촌~대전역 간(3.5㎞) 대전선을 전철화하고, 경부선 구간 조차장역~신탄진역(9.7㎞) 사이에 전철 전용선로를 추가 건설하는 방식으로 추진됩니다. 곳곳에 도시철도 역사가 만들어져 주변 낙후지역 개발도 촉진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대전 도심구간 이후에는 2단계로 오는 2018년까지 충북선을 연계해 신탄진역~세종시~오송~오창~청주공항 등 47㎞를 연장할 구상이라고 하네요.
이와 함께 대전~세종시간 연계교통체계 구축이 예정돼 있어 대전을 중심으로 인근 생활권이 BRT(간선급행버스)와 도시철도 등 고속교통망으로 연결되는 셈입니다.
대전~세종시 신 연계교통망 구축은 대덕특구 연결도로(세종시~신구교 9.90㎞ 구간) 와 외삼동 연결도로(세종시~외삼동 8.78㎞ 구간)를 각각 4차로와 8차로로 확장하고, BRT를 도입하는 방안입니다.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은 생산 4조 305억원, 고용 2만 명, 대전~세종시 연계교통체계 구축은 생산 1조 2,477억원, 고용 1만 명 등의 창출 효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도 나왔습니다.
유병로 대전발전연구원장은 “이 대통령의 지시로 수도권 전철을 청주공항까지 연결하고 다시 충청권 광역철도망과 연결하는 방향으로 국가철도망이 짜여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영화촬영지로 뜬 대전을 아예 한류를 재 점화하는 전초기지로 조성하는 방안도 급물살을 타게 됐습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날 업무보고에서 엑스포과학공원 일원에 특수촬영, 전천후 대형스튜디오, 제작지원 및 숙박시설 등을 조성하는 방안을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대전시는 이미 박 시장 취임 직후부터 대덕특구의 3D, CG 등 영상분야 R&D 역량을 기반으로 엑스포과학공원 일원을 영상산업진흥지구로 지정하고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해왔습니다. 대전문화산업진흥원이 출범해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각광받고 있으며, 영상산업의 메카가 될 대전CT(문화기술)센터가 오는 10월 완공 예정이거든요.
정부에서도 오는 2013년 지상파 방송의 HD(고화질)·디지털 방송 전환에 대비해 국가적 차원의 방송영상 종합제작 지원시설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었던 데다 관련 산업을 신 성장 고부가 서비스 산업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추진해왔습니다. 국가전략과 지역의 이해가 서로 맞아 떨어진 셈입니다.
대전시가 공원 부지를 장기 무상임대하고 1,700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이 사업으로 생산 3,910억원, 고용 1만 4천명 창출의 경제파급 효과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전시 업무보고는 한 마디로 박성효 시장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를 확인한 자리였습니다. 이 대통령은 박 시장이 꾸준히 제기해 온 녹색기술 산업클러스터 조성,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 첨단영상제작단지 조성 등에 대해 정부 차원의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사업 규모 면에서 다른 시·도 업무보고 때와 비교하면 “이례적 선물 보따리”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날 업무보고는 기념촬영과 시청 구내식당 오찬으로 마무리됐습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날 업무보고 자리에서 “일 잘하는 사람을 밀어줘야 한다는 게 내 소신이다. 막연한 계획이 아니라 구체적 계획을 실천하는 사람을 먼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수 차례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대구와 광주 R&D특구 지정 논란을 염두에 둔 듯 이 대통령은 “대덕특구는 이미 기득권을 갖고 있고 그 위상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대덕특구는 과학기술 K벨트의 거점으로서 중심역할을 할 것이다. 대덕특구와 세종시를 중심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구축해 국운상승 기회를 살려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Histoire sans dormi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경구, 오달수가 대전에 온 이유 (2) | 2010.03.11 |
---|---|
잃어버린 인도양의 낙원(4)..세계를 감동시킨 사물놀이 (5) | 2010.03.11 |
잃어버린 인도양의 낙원(3)..코끼리 거북의 "아듀! 세이셸" (3) | 2010.03.10 |
인도양의 잃어버린 낙원(2)..검둥이 여자의 외설스런 엉덩이 (4) | 2010.03.09 |
인도양의 잃어버린 낙원 세이셸(1).. 오호 통재라! 인류의 출현 (0) | 201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