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eling & Talking

죽음에 대한 지극히 현명한 성찰 '히어애프터(Hereafter)'

시대의 트랜드가 1세기가 아니라 10년, 아니 더 단축되고 있는 초정보화사회. 종교나 철학, 명상은 거리가 멀어보이는 그런 시대지만 영화들은 그런 주제를 이야기합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히어애프터(Hereafter)>가 그런 영화입니다.

<히어애프터>는 죽음을 보는 남자, 죽음을 겪은 여자, 죽음과 함께 사는 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죽음을 성찰하는 영화입니다.


조지(맷 데이먼)는 평범해 보이지만 특별한 능력, 소년 마커스(조지 맥라렌)가 '초능력'이라 부르는 능력을 가진 남자입니다. 다른 사람과 손을 잡으면 그 사람과 가장 관계가 있는 사람의 죽음을 알게 되고, 죽은 자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리(세실 드 프랑스)는 프랑스 뗄레비지옹의 유명한 앵커이자 저널리스트입니다. 애인(그녀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PD)과 바캉스를 떠났다가 쓰나미를 만나 죽음의 세계를 다녀오는 특별한 경험을 했지요.


마커스는 쌍동이 형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한 채 그의 영혼을 찾아 헤매입니다. 쌍동이 형의 죽음을 살고 있는 소년입니다.

영화는 서로 다른 이 세 주인공의 이야기들을 각각 담아냅니다. 세 편의 영화를 보는 느낌이 들 정도죠. 조지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마리는 프랑스 파리, 마커스는 영국 런던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이들 셋이 런던에서 조우하는 것으로 영화는 한 편의 영화가 됩니다.

영화 <히어애프터(Hereafter)>는 말 그대로 여기가 아닌 저 너머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여기(here)에 엄연히 존재하는 죽음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히어애프터>는 그래서 죽음에 대한 사색, 죽음에 대한 성찰로 가득 채워진 영화입니다.

죽음은 종교적인 주제일 수 있고, 철학적일 수도 있습니다. 문학적이고 사회학적이기도 합니다. 이런 모든 걸 떠나 영화가 말하고 싶은 건 아마도 "죽음은 우리 삶의 일부"라는 것 같습니다. 거기에 이스트우드적인 죽음의 성찰이 있습니다.


리딩(reading), 즉 죽은 영혼을 보고 그 영혼의 목소리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이란 게 사실 존재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조지는 자신의 리딩 능력을 '축복'이라며 비즈니스로 연결시키려는 형 빌리와 달리 '저주'로 여기며 고통스러워합니다.

이걸 과대망상의 하나로 봐야하는지, 아니면 있을 수 있는 초자연적 현상으로 인정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런 능력이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나의 삶과 깊게 관계되어 있는 사람의 죽음이 어떻게 내 삶에 자리잡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


영화에서 이 '리딩'의 능력을 관객으로 하여금 믿도록 만드는 건 아무래도 마리인 듯 합니다. 마리는 죽은자들의 영혼이 머무르는 무중력의 세계를 경험했고, 닥터 루소 여사를 만나 확신을 하게 되거든요.


우연의 일치겠지만 마리가 그런 확신을 갖게 됐을 때, 조지는 자신의 능력으로부터 벗어나고자 자신이 평소 열렬히 좋아하는 찰스 디킨즈의 생가 등을 방문하기 위해 런던으로 갑니다. 런던 북페어에서 조지는 소년 마커스를 만나게 됩니다.

조지는 마커스의 형 제이슨의 영혼을 리딩하면서 마커스에게 "너의 안에 제이슨이 있다. 너와 제이슨은 하나"라고 말해줍니다. 소년 마커스가 구원을 받는 장면이죠.


그리고 마리와의 만남.

자신만의 능력을 확신하면서 그런 능력에 대한 책의 저자인 마리를 런던북페어에서 만난 건 어찌보면 필연입니다.


소년 마커스가 조지에게 "아저씨가 좋아하는 여자"라고 부르는 마리와의 만남을 통해 조지는 자신만의 능력이 '저주'가 아님을 확신하게 되죠. 마리도 자신이 쓰나미로부터 잠깐 경험했던 환영이 환영이 아님을 확신하게 되구요.

죽음을 보고, 죽음을 겪었고, 죽음을 사는 사람들은 이렇게 해서 서로서로를 통해 구원에 이릅니다.

<히어애프터>는 영혼의 목소리를 듣는 리딩의 능력에 대한 이야기도, 무중력의 죽음의 세계, 즉 '히어애프터'가 실재한다는 주장을 하려는 영화도 아닙니다. 단지 그런 방편을 통해 죽음은 항상 우리 곁에 있고, 우리 삶의 연속일 뿐임을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큰 울음소리를 내며 태어나고, 태어나면서 어떤 이름으로 불려집니다. 태어남도 어떤 이름으로 불려지는 것도 내 의지와는 상관 없는 일입니다. 그리고 한 세상을 어떤 방식으로든 살다가 죽습니다. 그 죽음도 선택적인 일은 아니죠. 어떻게 보면 인간의 삶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을 때까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건 거의 없습니다. 스토아 철학자, 즉 현자들은 그래서 '현명한 선택', 그리스어로 '헤레시스'를 강조합니다. 영어사전에 '이단'이라고 해석되어지는 헤레시스는 '태어나서 살다 죽는' 그런 삶에서 특별한 선택을 강조하는 것이죠.

죽음을 삶의 일부로 여기는 그런 깨달음이 있을 때에만 '헤레시스'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히어애프터>를 보고 나니 쥴리아 로버츠 주연의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Eat Pray Love)>가 자연스럽게 연상됐습니다. 두 편의 영화가 '헤레시스'의 교훈을 깨닫게 해 줄 것 같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