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ire sans dormir

보문산을 여는 대사천 옛 물길...은빛 여울 속삭임으로 되살아난다

몇 백 년 풍상을 묵묵히 견뎌온 느티나무 두 그루가 울창한 그늘을 드리운 보문산 입구, 대사천 왼편에는 세월의 검은 더께가 고즈넉한 판자울타리 너머 연탄공장(현 보문맨션 자리)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여름날 한바탕 큰물이 지나고 방죽 위 가지런한 황톳길 위로 사금파리 같은 햇살이 부서지면, 대사천 바닥엔 작은 은 모래톱이 쌓이고, 찰랑대는 여울에 발목을 담근 메꽃, 달개비꽃 그늘 아래로 가재가 기어 다니곤 했었지요.

 보문산 케이블카(1960년 촬영)

제 아버지가 제게 말씀해주시던 1960년대 초 대사천의 풍경입니다.
 

그 후 동구나무 역할을 하던 느티나무 한 그루는 번개를 맞아 소실되고, 1970년대 하천 복개가 이뤄져 도로로 이용되면서 대사천의 기억은 아스라한 추억의 한 장면으로 남았습니다.

보문산을 오르던 대전시민들에게 팔짱친구와 같은 아련함으로 남아 있는 대사천이 50년 어두운 잠에서 깨어나 여울소리 정겨운 은빛 물살을 찰랑대며 다시 살아납니다.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청계천+20프로젝트’에 선정된 대사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본격 추진되는 것이죠.

 대사천 생태복원 후 진입부 상징마당(조감도). 모노레일은 보문산 아쿠아월드~대전오월드~뿌리공원을 연결한다.

보문산 오거리로부터 대사천 상류 총연장 1.1㎞ 구간을 대상으로 복원되는 이번 사업은 4구간으로 나누어 시민이 함께 만들어 가는 어울림 하천, 보고·듣고·느끼는 즐거움이 있는 하천, 물과 바람·자연을 담은 생태하천을 조성한다는 기본구상을 담고 있습니다.

 대사천 생태복원 후 생태하천 구간.

구간별 조성 계획으로는 1구간은 보호수주변 상징마당, 2구간은 대사천 진입부 수변 상징마당, 3구간은 생태하천, 4구간은 폭포 및 열린마당 등이 제시됐습니다. 또한 대사천 홍수위 산정에 따른 하폭 결정, 교통량 조사 분석 완료에 따른 교통처리계획, 건천화에 따른 유지용수 확보 및 수질개선 방안, 집중호우 재해예방에 따른 저류지 설치 및 경관계획 및 조경분야 등도 심도 있게 검토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대사천 생태복원 후 열린마당

대사천 옛물길 복원사업은 2010년 9월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해 공사에 착공, 2012년 말 공사를 완료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