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양의 잃어버린 낙원 세이셸 군도. 세이셸의 프라슬랭 섬과 뀌리외즈 섬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코코드메(coco de mer, 우리말로 굳이 옮긴다면 바다 야자). 이 신비로운 나무는 수많은 우화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이 나무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까지 이 나무를 본 사람이 아무도 없었거든요.
짙은 갈색이거나 검은색, 그리고 두 조각으로 나눠진 코코드메의 열매는 외설적으로까지 보인다.(프라슬랭 섬 발레 드 메 국립공원)
이 나무에 대해 사람들은 전설만을 이야기했습니다. 그 전설은 이 나무열매의 탄생을 인도네시아 자바 섬의 한 사내아이와 연결짓는 것이었습니다. 인도양에 닥친 난파의 유일한 생존자로서 금시조에 의해 구조돼 야자수 나무 중 하나에 놓여진 바로 그 아이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숭배되는 금시조는 오늘날 이 나라 항공사의 마스코트가 돼 있지요. 전설 속의 금시조는 발 사이에 소, 심지어는 코끼리를 움켜쥐고 운반할 수 있는 거대한 새입니다. 이는 수세기에 걸쳐 인도 말라바르(Malabar) 해안 주민들에게서 구전되어 온 이야기입니다. 이는 마찬가지로 이따금씩 바다를 떠다니다 연안에 밀려온 커다란 살색의 코코넛 열매를 해변에서 줍곤 했던 스리랑카 사람들의 이야기이기도 하죠.
금시조(출처=daum)
그런데 이 야자열매는 항상 서쪽에서 왔고, 따라서 사람들은 열매의 근원지를 몰디브 섬에 국한시켰습니다. 바다를 건너왔다고 해서 코코드메, 즉 바다야자라는 이름이 붙었던 것이죠. 그러나 바다야자라는 이 이름이 잘못됐다는 사실은 곧 밝혀지게 됩니다.
짙은 갈색과 두 조각으로 나눠진 '암시적인' 형태 등의 이유로 사람들은 그 열매를 '검둥이 여자의 엉덩이(fesse noire)'라고 불렀습니다.
마리옹 뒤프레슨 탐험대가 프라슬랭이란 세례명을 얻은 세이셸 군도의 작은 섬에서 코코드메를 발견한 것은 1768년이었습니다. 그 섬은 바로 루이 15세 시대의 해양부 장관, 가브리엘 드 수아죌, 즉 프라슬랭 공작에 헌정된 섬입니다. 박성효 시장을 비롯한 대전시사절단이 코코드메를 발견한 것도 이 섬의 유명한 발레드메(Valée de mai/5월의 계곡) 국립공원에서입니다.
프라슬랭 섬의 이름은 프라슬랭 공작에서 땄다.(세이셸대통령궁)
수천 그루의 코코드메 나무가 계곡의 비탈을 덮고 있고, 가장 오래된 나무는 족히 800년은 족히 넘었다고 합니다. 높이도 35미터까지 클 수 있습니다. 나뭇잎은 야자열매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4~6m에 이르고, 폭도 2~4m나 됩니다. 그 나뭇잎들은 식물계에서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요.
발레드메의 코코드메 나무.
이 나무들은 암나무와 수나무로 나뉩니다. 수나무에는 1~2m 길이의 원통형 이삭들이 있고, 이는 미소한 노란색 별모양으로 된 꽃들로 뒤덮인, - 일종의 말씀드리기 다소 거북하지만 강력한 '페니스'입니다. 이 원통형 이삭 위로 화분(花粉) 생성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초록 제코(gecko/도마뱀)들이 습관적으로 배회합니다.
페니스 모양의 코코드메.<촬영=내일신문 김신일 기자>
코코드메의 페니스를 오가며 모종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초록색 제코.<촬영=한겨레 송인걸 기자>
암나무의 이삭들도 길이가 1~2m 가량이며, 두께가 5~13m인 초록 빛깔이 도는 꽃이 핍니다. 씨앗은 2조각으로 나뉘어져 있고, 2개의 조각은 마치 시암 쌍둥이처럼 붙어있죠. 전체 덩어리는 10~22kg입니다. 이는 식물계에서 가장 큰 과일로 기록돼 있습니다. 이 열매는 나무줄기에 5~8년간 매달려 있다가 땅에 떨어지는데, 이는 뉴턴이 사과가 떨어지는 걸 바라보며 느꼈던 것보다 더 주목할만한 위험을 관광객에게 무릅쓰게 하죠.
코코드메를 보면 자연은 결코 서두르는 법이 없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암 야자수는 25년이 되어서야 열매를 맺기 시작하거든요. 각 씨앗은 여무는데 7~8년이 걸리고, 싹이 트려면 3년 이상이 걸립니다. 발아과정은 그야말로 스펙터클입니다. 거대한 씨앗이 숨김없이 음부를 노출하고, 싹이 2개의 조각을 각각 구분하는 접합부의 털뭉치에서 드러날 때는 자극적이기까지 합니다.
암 코코드메가 2조각으로 서서히 구분되어가고 있다.
씨앗이 미숙할 때는 너무 무거워 바다에 떠 있을 수 없고, 모든 발아 가능성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바다에 뜰 수 있게 됩니다. 이에 따라 세이셸의 어떤 코코드메도 몰디브나 인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멀리 떨어진 연안에서는 결코 발아하지 못했습니다. 코코드메가 세이셸의 섬에서만 발견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특히 코코드메 열매 중 정말 번식력이 있다고 해도 자신의 종을 영속시키려면 암수의 씨앗이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 있어야 합니다. 통계학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이겠죠. 여기에 코코드메가 족생(簇生), 즉 뭉쳐서 번식하는 종이란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족생하는 코코드메는 세이셸의 프라슬랭과 뀌리외즈 섬에서만 볼 수 있다.
코코드메의 학명은 '로도이세아 말디비카(Lodoïcea Maldivica)'입니다. 1768년 마리옹 뒤프레슨 탐험대에 이어 1771년 식물학자 코메르송이 루이 15세에게 경의를 표하면서 '루이(Louis)'의 라틴어 명칭인 '로도이세아'를 부여한 것이죠. 이 이름 뒤에 따라붙는 말디비카는 앞서 말씀드렸듯 코코드메가 서쪽 해안에서 발견되다보니 몰디브 섬에서 온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코코드메가 세이셸에서만 자라며, 결코 몰디브에서 자라지 않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 명칭은 국제식물용어 규칙에 따라 유지되고 있습니다.
가이드 조반 씨로부터 코코드메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박성효 대전시장.
최근 몇 세기 동안 세이셸의 야자수는 지나친 인간의 탐욕으로 인해 급격하게 쇠퇘했습니다. 이를 자각한 세계는 이 종을 보호할 목적으로 그 때부터 직접적인 수확을 통제했고, 열매의 판매는 세이셸 정부의 독점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발레드메는 유네스코가 세계인류유산으로 정해 입구 근처에서도 흡연조차하지 못하게 하더군요.
*인도양의 잃어버린 낙원 3편은 "아듀~ 세이셸, 알다브라 자이언트 거북" 편입니다.
이 나무에 대해 사람들은 전설만을 이야기했습니다. 그 전설은 이 나무열매의 탄생을 인도네시아 자바 섬의 한 사내아이와 연결짓는 것이었습니다. 인도양에 닥친 난파의 유일한 생존자로서 금시조에 의해 구조돼 야자수 나무 중 하나에 놓여진 바로 그 아이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숭배되는 금시조는 오늘날 이 나라 항공사의 마스코트가 돼 있지요. 전설 속의 금시조는 발 사이에 소, 심지어는 코끼리를 움켜쥐고 운반할 수 있는 거대한 새입니다. 이는 수세기에 걸쳐 인도 말라바르(Malabar) 해안 주민들에게서 구전되어 온 이야기입니다. 이는 마찬가지로 이따금씩 바다를 떠다니다 연안에 밀려온 커다란 살색의 코코넛 열매를 해변에서 줍곤 했던 스리랑카 사람들의 이야기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야자열매는 항상 서쪽에서 왔고, 따라서 사람들은 열매의 근원지를 몰디브 섬에 국한시켰습니다. 바다를 건너왔다고 해서 코코드메, 즉 바다야자라는 이름이 붙었던 것이죠. 그러나 바다야자라는 이 이름이 잘못됐다는 사실은 곧 밝혀지게 됩니다.
짙은 갈색과 두 조각으로 나눠진 '암시적인' 형태 등의 이유로 사람들은 그 열매를 '검둥이 여자의 엉덩이(fesse noire)'라고 불렀습니다.
마리옹 뒤프레슨 탐험대가 프라슬랭이란 세례명을 얻은 세이셸 군도의 작은 섬에서 코코드메를 발견한 것은 1768년이었습니다. 그 섬은 바로 루이 15세 시대의 해양부 장관, 가브리엘 드 수아죌, 즉 프라슬랭 공작에 헌정된 섬입니다. 박성효 시장을 비롯한 대전시사절단이 코코드메를 발견한 것도 이 섬의 유명한 발레드메(Valée de mai/5월의 계곡) 국립공원에서입니다.
수천 그루의 코코드메 나무가 계곡의 비탈을 덮고 있고, 가장 오래된 나무는 족히 800년은 족히 넘었다고 합니다. 높이도 35미터까지 클 수 있습니다. 나뭇잎은 야자열매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4~6m에 이르고, 폭도 2~4m나 됩니다. 그 나뭇잎들은 식물계에서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요.
이 나무들은 암나무와 수나무로 나뉩니다. 수나무에는 1~2m 길이의 원통형 이삭들이 있고, 이는 미소한 노란색 별모양으로 된 꽃들로 뒤덮인, - 일종의 말씀드리기 다소 거북하지만 강력한 '페니스'입니다. 이 원통형 이삭 위로 화분(花粉) 생성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초록 제코(gecko/도마뱀)들이 습관적으로 배회합니다.
암나무의 이삭들도 길이가 1~2m 가량이며, 두께가 5~13m인 초록 빛깔이 도는 꽃이 핍니다. 씨앗은 2조각으로 나뉘어져 있고, 2개의 조각은 마치 시암 쌍둥이처럼 붙어있죠. 전체 덩어리는 10~22kg입니다. 이는 식물계에서 가장 큰 과일로 기록돼 있습니다. 이 열매는 나무줄기에 5~8년간 매달려 있다가 땅에 떨어지는데, 이는 뉴턴이 사과가 떨어지는 걸 바라보며 느꼈던 것보다 더 주목할만한 위험을 관광객에게 무릅쓰게 하죠.
코코드메를 보면 자연은 결코 서두르는 법이 없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암 야자수는 25년이 되어서야 열매를 맺기 시작하거든요. 각 씨앗은 여무는데 7~8년이 걸리고, 싹이 트려면 3년 이상이 걸립니다. 발아과정은 그야말로 스펙터클입니다. 거대한 씨앗이 숨김없이 음부를 노출하고, 싹이 2개의 조각을 각각 구분하는 접합부의 털뭉치에서 드러날 때는 자극적이기까지 합니다.
씨앗이 미숙할 때는 너무 무거워 바다에 떠 있을 수 없고, 모든 발아 가능성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바다에 뜰 수 있게 됩니다. 이에 따라 세이셸의 어떤 코코드메도 몰디브나 인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멀리 떨어진 연안에서는 결코 발아하지 못했습니다. 코코드메가 세이셸의 섬에서만 발견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특히 코코드메 열매 중 정말 번식력이 있다고 해도 자신의 종을 영속시키려면 암수의 씨앗이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 있어야 합니다. 통계학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이겠죠. 여기에 코코드메가 족생(簇生), 즉 뭉쳐서 번식하는 종이란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코코드메의 학명은 '로도이세아 말디비카(Lodoïcea Maldivica)'입니다. 1768년 마리옹 뒤프레슨 탐험대에 이어 1771년 식물학자 코메르송이 루이 15세에게 경의를 표하면서 '루이(Louis)'의 라틴어 명칭인 '로도이세아'를 부여한 것이죠. 이 이름 뒤에 따라붙는 말디비카는 앞서 말씀드렸듯 코코드메가 서쪽 해안에서 발견되다보니 몰디브 섬에서 온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코코드메가 세이셸에서만 자라며, 결코 몰디브에서 자라지 않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 명칭은 국제식물용어 규칙에 따라 유지되고 있습니다.
최근 몇 세기 동안 세이셸의 야자수는 지나친 인간의 탐욕으로 인해 급격하게 쇠퇘했습니다. 이를 자각한 세계는 이 종을 보호할 목적으로 그 때부터 직접적인 수확을 통제했고, 열매의 판매는 세이셸 정부의 독점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발레드메는 유네스코가 세계인류유산으로 정해 입구 근처에서도 흡연조차하지 못하게 하더군요.
*인도양의 잃어버린 낙원 3편은 "아듀~ 세이셸, 알다브라 자이언트 거북" 편입니다.
'Histoire sans dormi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박대통령, 대전에 '이례적 선물 보따리' (2) | 2010.03.10 |
---|---|
잃어버린 인도양의 낙원(3)..코끼리 거북의 "아듀! 세이셸" (3) | 2010.03.10 |
인도양의 잃어버린 낙원 세이셸(1).. 오호 통재라! 인류의 출현 (0) | 2010.03.08 |
세계에서 가장 큰 멸종위기 육지거북 대전동물원 온다 (4) | 2010.03.08 |
'지상의 마지막 낙원' 세이셸에 갑니다 (10) | 201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