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면 아름다운 사람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아는 한 분과 누구인지 알지는 못하지만 '세상에 이런 분도 있구나'하는 사연이 있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1.시각장애인 김순자 씨
제가 아는 분 중에 시각장애인이 계십니다. 김순자 씨(58). 그는 요즘 틈만 나면 대전 자랑에 여념이 없습니다. 대전 가톨릭 시각장애인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 씨는 얼마 전 열린 전국 회장단회의에서도 대전 자랑에 열을 올렸습니다. 전국 회장단은 시각장애인을 배려하는 대전이 참 부럽다고들 하더군요.
김 회장님이 이처럼 대전 자랑을 하는 데는 다 까닭이 있습니다. 지난 해부터 대전시가 마련해 준 시각장애인 안마사업단 때문이죠. 안마사 자격증을 가진 시각장애인들이 노인복지관과 사회복지관을 돌면서 노인이나 장애인들에게 무료로 안마서비스를 제공하면 시에서 시각장애인들에게 보수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김 회장님은 지난해 2월 시각장애인 안마사업단이 출범하면서 일원이 됐습니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일이라 망설일 이유가 없었겠지요.
지난 2002년 뇌종양으로 시각장애를 얻게 된 김 회장님은 다른 시각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힘든 적응기간을 겪어야 했습니다. 슬픔과 우울의 늪에 빠져 지내던 김 회장님은 114 안내전화를 통해 시립산성종합복지관을 알게 됐고 재활교육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자식들에게 손 안 벌리고 자립하기 위해서는 자격증이 필요했지요. 대전맹학교는 그런 김 회장님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미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리고 2년 과정의 이료재활반을 마친 뒤 안마사자격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았습니다.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경제활동을 해야 했는데 마땅히 할 일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나 성당 등을 통해 안마 일을 찾았지만 여의치 않았다고 합니다. 이런 김 회장님에게 안마사업단 출범은 단비와도 같았습니다. 김 회장님이 안마사업단으로 활동하면서 받는 보수는 월 100만원 안팎. 그는 “100만원을 1천만 원 이상의 가치로 쓴다”고 말합니다. 먼저 친정엄마와 딸에게 용돈을 줍니다. 그리고 성당건립기금을 내놓지요. 남는 돈은 지인들과 맛있는 것도 사먹고, 봉사하고 싶은 곳에 후원도 합니다.
얼마 전에는 푼푼이 모은 50만원을 들고 대전시청으로 박성효 시장을 찾아왔습니다. 그는 “일하게 해 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나보다 어려운 사람을 위해 써 주세요”라고 하더군요. 박 시장은 “성당에 기탁하면 더 좋은 일에 쓰일 수 있을 겁니다”라며 그를 돌려보냈지요.
김 회장님은 “대전시가, 시장님이 정말 고마웠어요. 고마운 마음에 다섯 달 동안 돈을 모아서 시장님을 찾아갔지요. 그런데 뜻만 받고 안 받으시겠다는 거예요. 더 좋은 데 쓰라고 하시면서요. 그래서 가톨릭교구청에 기탁했어요. 힘든 이들의 따뜻한 밥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요…”.
#2. 익명의 기부자
최근 대전시 푸른도시과에 발송인의 주소와 이름이 적히지 않은 편지 한 통이 배달됐습니다.
담당공무원이 편지봉투를 열어보니 ‘기부금(3천만 그루 나무심기)’이라고 적힌 쪽지와 현금 15만원이 들어있었습니다. 담당공무원은 이 돈을 푸른대전가꾸기 시민운동본부에 전달했지요.
담당공무원은 “한밭수목원 완전개장, 유림공원, 정부청사 도시 숲 등 도심 속 공원이 조성되면서 푸르른 생활환경에 만족감을 느낀 한 시민이 지속적인 도시 숲 조성을 당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하더군요.
이처럼 ‘숲의 도시 대전’을 조성하자며 대전시가 야심 차게 추진 중인 ‘3천만 그루 나무심기’가 대전시민들의 적극적인지지 속에 시민운동으로 정착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 2007년 푸른대전가꾸기 시민운동본부가 출범한 뒤 접수된 나무심기 기부금은 3월 현재 18억 4,744만 1천원에 달합니다. 또 지금까지 시민 5만 1,741명이 참여해 63만 8,336그루를 심었지요. 가족의 화목을 기원하거나 자녀 출생, 결혼기념일, 생일 등을 기념해 나무를 심었고, 초등학생들은 교정에 꿈나무를 심었습니다. 몇몇 기업은 5천 그루의 묘목과 황철나무 30그루, 배롱나무 1그루 등을 기증하기도 했습니다.
3천만 그루 나무심기는 박성효 시장의 공약입니다.
2020년까지 매년 200만 그루씩 나무를 심어 도시 전체를 푸르게 가꿔 도심 녹지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리겠다는 계획이죠.
올해에도 진잠 도시 숲, 중촌 시민근린공원 등 대규모 도시 숲 조성사업과 학교 공원화 사업, 가로변 나무심기 사업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나무를 심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국내 인공수목원 중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한밭수목원의 야경과 갑천변의 새로운 명품공원으로 탄생한 유림공원
지난해까지 611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UNEP(UN환경계획)이 전 지구적으로 추진 중인 1억 그루 나무심기 운동에서 국내 기여도 1위 도시라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여도는 전 세계적으로 10위입니다. 나무를 심고 관리하면서 연간 20만 명의 고용이 창출되고, 묘목을 지역농가에 위탁해 연간 4억원의 소득을 올리는 경제 파급효과도 나타났지요.
1그루의 나무가 50년간 자라면 산소발생과 오염물질 제거 등 1억 4천만 원의 가치를 창출한다고 합니다. 이제는 온실가스를 줄이지 못하면 경제활동에도 제약을 받는 기후변화시대입니다. 나무를 심고 관리하는 그런 시대적 가치가 더 존중받기를 기대해봅니다.
'Histoire sans dormi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최초의 자연하천형 야외수영장 탄생 D-10 (8) | 2010.03.16 |
---|---|
목척교 르네상스 시대가 다가옵니다 (0) | 2010.03.16 |
코끼리야, 거북이야? 대전동물원 거북의 이름은? (2) | 2010.03.12 |
설경구, 오달수가 대전에 온 이유 (2) | 2010.03.11 |
잃어버린 인도양의 낙원(4)..세계를 감동시킨 사물놀이 (5) | 2010.03.11 |